토지·건물 가액 구분이 불분명할 때 — 과세표준 안분계산 방법(실무 가이드)

국세청 고시(제2025-26호) 취지 요약

토지·건물 가액 구분이 불분명할 때 — 과세표준 안분계산 방법(실무 가이드)

계약서에 토지/건물 금액 구분이 없을 때, 표준가액 비율로 총액을 나누는 것이 원칙입니다. 부가가치세·양도소득세 등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게 표 + 예시로 정리했습니다.

1) 3줄 요약

① 계약서에 토지/건물 구분이 없으면 표준가액(시가표준액 등) 합계 비율로 총액을 안분.
토지분은 부가가치세 면세, 건물분은 과세(용도·예외 확인).
③ 공시가격/건물시가표준액 등 가장 가까운 기준일의 표준가액을 일관되게 사용.

2) 언제 쓰나 — 적용 범위

  • 부가가치세: 토지는 면세, 건물은 과세 → 총액을 토지/건물로 나눌 필요가 있을 때.
  • 양도·취득 관련: 세목별로 토지/건물 과세 체계가 달라 가액 배분이 필요한 경우.
  • 구분건물·부속토지 포함 거래 등, 계약서에 구분 금액이 없거나 부정확한 경우.

※ 실제 적용 세목·예외는 귀 거래유형·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3) 안분계산 절차·공식

  1. 표준가액 확인
    가까운 기준일의 토지 공시가격(개별공시지가 등)과 건물 시가표준액(재산세 과세표준 등)을 확인합니다.
  2. 비율 산정
    토지비율 = 토지 표준가액 / (토지 표준가액 + 건물 표준가액)
    건물비율 = 건물 표준가액 / (토지 표준가액 + 건물 표준가액)
  3. 총액 안분
    토지 안분가액 = 총 거래가액 × 토지비율
    건물 안분가액 = 총 거래가액 × 건물비율
  4. 세목 적용
    부가가치세 등 각 세목의 규정에 따라 면세/과세, 필요 경정 등을 반영합니다.
포인트: 평가방법은 거래시점·세목에 맞춰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고, 증빙(공시자료·납세고지)를 보관하세요.

4) 숫자 예시 — 계약가 10억원, 표준가액 토지 6억 / 건물 4억

구분표준가액비율안분가액(계약가 10억)
토지6억원6/(6+4)=60%6억원
건물4억원4/(6+4)=40%4억원

부가세 적용 예: 토지분(면세), 건물분 4억원에 과세(용도·예외 규정 확인).

5) 실무 주의·팁

  • 기준일 정합성: 토지/건물 표준가액의 기준일이 크게 다르면, 거래시점에 가장 근접한 기준으로 맞춰 일관되게 적용.
  • 구분건물·대지권: 대지권 지분율을 반영해 토지 표준가액 산정(등기부/재산세 고지서 확인).
  • 감가상각 고려: 건물 시가표준액 산정 시 감가 반영 기준을 확인(재산세 과세표준 참고).
  • 별도 시설물: 구조물·부대설비가 별도 취급되는지 해당 표준가액 체계 확인.
  • 증빙 보관: 공시가격 출력본, 재산세 과세표준, 산식, 내부 검토 메모를 파일링하여 사후 검증 대비.
경고: 임의로 임대인·임차인 편의에 맞춘 비율은 부인될 수 있습니다. 공식 표준가액과 산식을 근거로 남기세요.

6) FAQ

Q1. 표준가액 자료를 어디서 확인하나요?

토지는 개별공시지가/공시가격, 건물은 재산세 과세표준(시가표준액)을 참고합니다. 지자체/부동산공시시스템/재산세 고지서 등 공식 자료를 사용하세요.

Q2. 표준가액이 없는 신축 건물은요?

해당 연도 재산세 과세자료가 없을 수 있습니다. 관할 지자체 산정기준(시가표준액 산식)이나 감정가 등 가장 가까운 공식 자료로 일관되게 적용하고, 근거를 남기세요.

Q3. 계약서에 임의 배분액이 적혀 있으면 그대로 쓰나요?

세법상 합리성이 없거나 표준가액과 현저히 불일치하면 공식 비율로 경정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표준가액 기반으로 작성·입증을 권합니다.

Q4. 오피스텔·주거용 건물은 부가세가 면세인가요?

실제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 주거용 공급이면 면세, 업무용은 과세가 일반적입니다(겸용은 면/과세 안분). 개별 사실관계를 확인하세요.

8)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이며, 특정 거래의 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중요한 의사결정 전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태그·요약(숨김)

토지건물안분 과세표준안분 부가가치세토지면세 시가표준액 국세청고시
© KR Tax Policy · 문의: krtaxpolicy@gmail.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내상장 ETF vs 해외상장 ETF 세금 완전정리 (2025년 최신)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금 — 어떤 계정으로 처리해도 손금? (회계/세무 한 번에 정리)

[긴급진단] '부모 찬스' 자금출처 세무조사 — 연소자·외국인 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