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해설] 수도권 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집중조사 — 무엇이 바뀌고, 내가 지금 할 일

[정책해설] 수도권 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집중조사 — 무엇이 바뀌고, 내가 지금 할 일
2025-10-27 업데이트 · 국토교통부 정책뉴스·국세청 보도자료 근거

수도권 부동산 시장 교란행위 집중조사 — 무엇이 바뀌고, 지금 할 일

토지거래허가 위반, 편법 자금조달(법인자금·부모 증여), 특수관계 직거래 등 위법의심 사례가 대거 적발되었습니다. 서울 3~4월 신고분 317건, 작년 1월~올해 2월 특수관계 직거래 264건 등. 본문에서 단속 포인트셀프 점검표를 제공합니다.

1) 한 눈에 요약

항목핵심
조치서울·경기 등 기획조사·현장점검 확대, 토지거래허가 의무위반·편법 자금조달 중점 점검
실적서울 3~4월 신고분 위법의심 거래 317건 적발 / 특수관계인 직거래 기획조사 264건 적발
연계금융위·금감원: 사업자대출 용도 외 유용 점검 / 국세청: 편법 증여·탈루 엄정 조사
신고부동산 불법행위 통합 신고센터(1644-9782, budongsan24.kr) 신고·상담

출처: 국토교통부 정책뉴스(2025-10-27), 국세청 보도자료(2025-10-01).

2) 무엇을 집중 점검하나?

  • 토지거래허가 의무: 허가 후 4개월 내 입주, 2년 실거주 (허가 회피 목적의 허위 계약일 신고 여부 점검)
  • 편법 자금조달: 법인자금 유용, 부모로부터 증여성 자금 지원 등 → 자금조달계획서·증빙 대조, 소명자료 요구
  • 금융규제 회피: 사업자대출을 주택 취득에 사용 등 용도 외 유용 → 대출 회수·신규대출 제한 가능
  • 특수관계 직거래: 다운계약·가장거래 등으로 세제 회피 → 국세청 통보·조사
자금조달계획서 기재 항목 세분화 등 제도 개선도 추진됩니다(정밀 검증 대비).

3) 위법의심 대표 사례

사례내용조치
특수관계 차입금 과다법인(본인 주주)에서 거액 차입 후 고가 아파트 매수국세청 통보(자금출처·증여세 검증)
사업자대출 용도 외 유용기업운전자금 대출을 주택 구입에 사용금융위·금감원 통보(대출 회수·제재)
전세를 통한 편법 증여부모가 보증금 25억 전세 계약 → 자녀 주택 매수에 사실상 자금 지원국세청 통보(편법 증여 의심)
다운계약·허위신고신고가와 실제 이체금액 불일치지자체 통보(과태료·형사처벌 가능)
주의: 허위신고·가장거래·편법증여는 세무조사 + 금융제재 + 형사까지 연쇄 위험이 큽니다.

4) 내 거래 셀프 점검표

점검 항목확인메모
토지거래허가 대상 여부·허가일 준수(4개월 입주·2년 실거주)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내용과 실제 자금 흐름 일치
부모·특수관계인으로부터 빌린 돈 차용증·이자지급 증빙 보유
사업자대출 사용 용도 입증 가능(계약서·거래원장 등)
계약금·중도금·잔금 이체내역과 실거래가 일치
전·월세 계약 시 보증금 출처·소득 대비 지출 합리성 확보
위반 의심 사례 발견 시, 사전 자진시정(정정신고·세무신고 보완)과 전문가 상담을 권합니다.

5) FAQ

Q1. 부모에게서 무이자·무기한 차입은 안전한가요?

아닙니다. 자금 규모·상환능력·거래 실질에 따라 증여로 추정될 수 있습니다. 차용증·이자지급 등 객관적 증빙을 갖추세요.

Q2. 사업자대출로 주택을 샀는데요?

용도 외 유용으로 대출 회수·제재 대상입니다. 부동산 취득은 주택담보대출 등 적정한 금융상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Q3. 전세 보증금을 부모가 넣어줬다면?

실질이 증여이면 과세됩니다. 보증금·월세의 자금출처를 투명하게 준비하세요.

7) 디스클레이머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구체적 사실관계에 대한 법률·세무 자문이 아닙니다. 중요한 의사결정 전 전문가 상담을 권합니다.

태그·요약(메타)

부동산교란행위 토지거래허가 편법증여 자금조달계획서 특수관계직거래 국세청세무조사
요약: 국토부는 수도권 부동산 교란행위에 대한 기획조사·현장점검을 확대하고, 토지거래허가 위반·편법 자금조달·특수관계 직거래 등을 중점 점검합니다. 위법의심 거래는 금융위·국세청·지자체에 통보되어 엄정 조치됩니다.
© KR Tax Policy · 문의: krtaxpolicy@gmail.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내상장 ETF vs 해외상장 ETF 세금 완전정리 (2025년 최신)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금 — 어떤 계정으로 처리해도 손금? (회계/세무 한 번에 정리)

[긴급진단] '부모 찬스' 자금출처 세무조사 — 연소자·외국인 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