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납자 해외 은닉재산을 끝까지 추적하기 위해 호주와 징수공조를 체결, 아·태 국세청장회의에서 AI 세정 전환 계획을 공유함.

2025-09-18 보도참고자료 요약

국세청, SGATAR 참석… 한‑호 징수공조 MOU 체결

체납자 해외 은닉재산을 끝까지 추적하기 위해 호주와 징수공조 MOU를 체결하고, 아·태 국세청장회의에서 AI 세정 전환 계획을 공유했습니다.

9/16~18
브리즈번 개최
MOU
한‑호 징수공조
AI
세정 대전환

1) 한눈에 보는 핵심

  • 언제/어디서: 2025.09.16(화)~09.18(목),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제54차 SGATAR 참석
  • 주요 성과: 호주와 징수공조 MOU 체결(체납자 해외재산 압류·공매 등 강제징수 절차·범위 명확화)
  • 정책 메시지: AI 기반 세정 전환 방향 발표, 우리 기업에 대한 세정지원 요청

2) 무엇이 달라지나: 한‑호 징수공조 MOU

항목내용
목적체납자의 해외 은닉재산에 대한 국제 공조 징수 강화
핵심상대국 요청 시 압류·공매 등 강제징수 가능하도록 절차/범위 명확화, 협력 창구 공식화
의미양국 간 실질적 징수 공조 체계 구축 → 조세정의 실현 및 악질 체납 대응력 향상

3) SGATAR(아·태 국세청장회의) 개요

  •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세청장 협의체(1970년 발족), 매년 1회 정기총회
  • 이번 총회 주제: 조세범죄 대응·사기 적발, AI 활용, 세제개편 동향
  • OECD·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 18개 회원국 수석대표 참석

4) 한국 국세청의 ‘AI 대전환’ 계획

  • 생성형 AI로 전 국민 세무컨설팅 무료 제공(세법·예규·판례 학습 기반)
  • 세무조사 사례 학습을 통한 탈루혐의 자동 추출 시스템 개발 추진
  • 미래혁신 추진단 중심의 단계적 도입

5) 우리 기업 지원(상호합의·세정외교)

  • 우리 진출기업이 이중과세 없이 사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상호합의 절차(MAP) 활성화 제안
  • 각국 과세당국에 세정지원을 요청하고 양자 교류 확대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징수공조 MOU가 체결되면 바로 해외재산을 강제징수할 수 있나요?

상대국의 법령과 절차에 따라 요청·심사 과정을 거쳐 압류·공매 등 강제집행이 가능해집니다. 이번 MOU는 그 절차와 범위를 명확화했습니다.

Q2.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변화가 있나요?

국제 세정협력 강화로 이중과세 해결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 세무상 애로가 있다면 MAP 신청을 검토하세요.

Q3. SGATAR는 어떤 회의인가요?

아·태 18개국이 세정현안을 공유하는 연례회의로, 조세범죄 대응·AI 활용 등 실무 협력을 논의합니다.

7) 체크리스트 & 태그·요약

체크 항목확인
해외 체납 대응: MOU로 강화된 압류·공매 절차 이해
해외 사업 법인: 분쟁 발생 시 상호합의(MAP) 검토
국내 본사: 내부 통제에 AI 세정 변화 대응 계획 반영

※ 본 글은 국세청 보도참고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요약입니다. 구체적 집행은 양국 법령·절차에 따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코인 세금 2027 완전정리: 과세 시작일·전환특례·세율 22%

부모님이 매달 카드값 200만 원 보내주면 ‘증여’인가요? 👉 케이스별 정리

부모→자녀 돈 빌려주기, 증여세 없이 안전하게 (2025 최신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