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택임대소득 과세 총정리 (보유 주택 수별)
2025년 주택임대소득 과세 총정리 ✅
1주택자라도 월세 받으면 세금 낼까?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국세청 공식 가이드를 반영한 과세 여부 + 분리/종합 과세 조건 + 계산사례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 핵심 정리:
- 1주택자 + 기준시가 12억 이하 = 월세 수입 있어도 비과세
- 기준시가 12억 초과되면 과세 대상
- 1주택자 + 기준시가 12억 이하 = 월세 수입 있어도 비과세
- 기준시가 12억 초과되면 과세 대상
📌 목차
1️⃣ 과세 여부 판단 기준 (2025년 국세청)
- 1주택자이고, 해당 주택의 기준시가가 12억원 이하이면 비과세
- 기준시가 12억 초과 주택은 과세 (월세 수입 포함)
-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원칙적으로 과세 대상
2️⃣ 보유 주택 수별 과세 정리
| 보유 주택 수 | 기준시가 | 과세 여부 |
|---|---|---|
| 1주택 | 12억 이하 | 비과세 |
| 1주택 | 12억 초과 | 과세 |
| 2주택 이상 | 전체 무관 | 과세 |
3️⃣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택1)
- 임대소득 연 2,000만 원 이하 →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선택
- 분리과세 시 세율 14% + 공제 적용
-
공제 및 필요경비율:
- 등록임대주택: 필요경비율 60%, 공제액 400만 원
- 미등록임대주택: 필요경비율 50%, 공제액 200만 원
4️⃣ 세금 계산 사례
✅ 사례 A: 1주택자 + 기준시가 10억 → 비과세
- 연간 월세 수입: 1,800만 원
- 결과: 비과세 → 종소세 신고 필요 없음
✅ 사례 B: 2주택자 + 월세 수입 1,800만원 → 분리과세
- 등록임대주택
- 필요경비: 1,080만 원 (60%)
- 기본공제: 400만 원
- 과세표준: 320만 원 → 세액 = 44.8만 원
🔗 참고 링크
👉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유 부탁드려요!
✍️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댓글 쓰기
💬 질문은 환영!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