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국가자원데이터센터 화재로 중단된 정부서비스와 복구 현황 (9/28 최신)

업데이트: 2025-09-28 11:00 KST · 출처: 행안부 브리핑/서울시 공지/주요 통신사 보도 국가자원데이터센터 화재로 중단된 정부서비스와 복구 현황 (9/28 최신)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화재 여파로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됐습니다. 어떤 서비스가 현재 제한/중단 인지, 복구 계획(647개 중 551개 순차 재가동) 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체 이용 팁까지 제공합니다. 목차 1) 요약(핵심 수치) 2) 현재 중단/제한 서비스 3) 복구 타임라인·전략 4) 지금 당장 가능한 대처 방법 5) 자주 묻는 질문 6) 공식 출처/상태 확인 링크 1) 요약(핵심 수치) 사고 : 9/26 20:15경 대전 NIRS 전산실 배터리(UPS) 작업 중 화재. 중단 규모 :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중단, 대민 온라인 서비스 다수 장애. 복구 계획 : 551개 시스템 을 9/28부터 순차 재가동 (핵심 보안장비 99%, 네트워크 50%+ 복구 기준). 출처: 로이터·서울신문·뉴데일리·국민일보 보도 요약(아래 ‘공식 출처’ 참조). 2) 현재 중단/제한 서비스 우정사업본부(인터넷우체국·우편/예금/보험·ATM) : 온라인/창구 기반 서비스 장애/지연 공지. 정부24 : 각종 증명서 발급 및 일부 무인발급기 이용 제한 . 모바일 신분증 : 재해복구(DR) 전환 후 대부분 정상화 공지(일부 연계 서비스는 지연 가능). 국민신문고 : 민원 접수·조회 지연/제한 . 복지로·사회서비스포털 : 이용 제한 ...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 자진발급 지연 시 가산세 계산 가이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 자진발급 지연 시 가산세 계산 가이드 “하루 늦었어요… 세금폭탄인가요?” 결론: 거래일+5일 이내 자진발급이 원칙이고, 10일 이내 라도 자진발급하면 가산세가 50% 감면 됩니다. 기본 20% → 10% 로 줄어듭니다. 목차 1) 결론 한 장 요약 2) 의무발행 기준(누구·언제·어떻게) 3) 지연 발급 시 가산세 — 20% →(10일 내 자진발급) 10% 4) 케이스별 계산 예시 5) 자주하는 질문 6) 태그·요약(메타) 1) 결론 한 장 요약 [근거: 국세청 안내 · 국세청 웹TV ] 상황 처리 가산세 의무발행업종, 10만원 이상 현금거래 소비자 요구 없음 → 국세청 지정번호(010-000-1234) 로 거래일+5일 내 자진발급 정상(무가산) 거래일+6~10일 내 자진발급 늦었지만 자진발급 으로 인정 20%의 50% 감면 → 10% 10일 초과 발급/미발급 의무 미이행 20% 가산세(원칙) 소비자가 요청했는데 거부/허위발급/임의취소 발급거부에 해당 5% 별도 가산세(5천원 미만 제외) ※ ‘발급거부 5%’는 소비자 요청 거부·허위기재·임의취소 케이스에 한함. 기본 20% 과태료(가산세)와는 별도 규정입니다. 2) 의무발행 기준(누구·언제·어떻게) [근거: 국세청 안내 ] 대상 :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업종은 매년 일부 확대) — 건당 10만원 이상 현금거래시 요청 없어도 발급 의무 자진발급 기한 : 소비자가 개인정보를 주지 않아도, 국세청 지...

해외주식 양도손익 이월·통산 2025 가이드 — 되는 것/안 되는 것 한 장 요약

해외주식 양도손익 이월·통산 2025 가이드 — 되는 것/안 되는 것 한 장 요약 올해 이익·손실을 어떻게 상계 하고, 다음 해로 이월 이 가능한지, 신고 시기(5월) 와 기본공제 250만원 까지 깔끔 정리. 목차 1) 결론 요약(표) 2) 통산(상계) 규칙 3) 이월공제 가능/불가 4) 신고 타임라인·서류 5) 실전 예시(케이스 스터디) 6) FAQ 7) 근거/검증 링크 8) 태그·요약(메타) 1) 결론 요약 주제 핵심 손익 통산 같은 과세기간(1.1~12.31) 내 해외주식끼리 손익 통산 가능. 또한 ‘20년 이후엔 해외주식 ↔ 국내주식(대주주/비상장 등 과세대상분) 간도 확정신고 시 통산 가능. 이월공제 불가 . 해외주식 양도손실은 다음 해로 이월해 공제할 수 없음 . (현행 세법 체계 — 금융투자소득세 유예 상태) 기본공제 연간 순이익에서 250만원 기본공제 후 22%(지방세 포함) 과세 신고 해당 연도 거래분을 다음 해 5월(1~31일) 확정신고. 홈택스 전자신고 가능 핵심만 기억: 올해 안에서 손실을 확정해 이익과 통산 하시고, 내년으로 넘기는 이월공제는 없다 는 점. 2) 통산(상계) 규칙 해외주식 간 통산 : 같은 과세기간 내의 양도차익과 양도차손을 상계(증권사 다르면 합산 필요). 국내주식과의 통산 : 2020년 이후 확정신고 에서 과세대상 국내주식(대주주 상장·비상장 등) 과 해외주식 손익을 합산 신고 가능. 기본공제 적용...

👨‍👩‍👧‍👦 자녀장려금 2025 총정리: 자격·금액·신청·지급

👨‍👩‍👧‍👦 자녀장려금 2025 총정리: 자격·금액·신청·지급(공식 근거 포함) 결론: 자녀장려금은 부부합산 총소득 7,000만 원 미만 이고 만 18세 미만 부양자녀 가 있는 가구에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 을 환급(세액 환급형)합니다. 재산은 2.4억 미만 이어야 하며, 1.7억~2.4억 이면 산정액의 50%만 지급 됩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자격) 얼마나 받나(금액·구간) 언제·어떻게 신청하나 언제 받나(지급 시기) 자주 묻는 질문(FAQ) 공식 근거 누가 받을 수 있나(자격) 소득 요건 : 부부합산 총소득 7,000만 원 미만 (홑벌이·맞벌이 동일) [근거] 재산 요건 : 가구 재산 합계 2.4억 미만 (1.7억~2.4억은 산정액의 50%만 지급) [근거] 자녀 요건 : 만 18세 미만 부양자녀 (입양 포함) [근거] 가구 유형 : 단독/홑벌이/맞벌이 정의는 근로·자녀장려금 공통 기준을 따름 [근거] 얼마나 받나(금액·구간) 자녀 수와 소득 구간에 따라 자녀 1인당 최소 50만 ~ 최대 100만 원 을 지급합니다. (정확한 산정은 홈택스 모의계산 권장) 자녀 1명: 50만~100만 원 자녀 2명: 100만~200만 원 자녀 3명: 150만~300만 원 … 언제·어떻게 신청하나 정기 신청 : 2025. 5.1 ~ 6.2 (기한후: 6.3 ~ 12.1) 방법 : ARS 1544-9944 , 홈택스 (모바일/PC), 안내문 QR, 세무서 방문 반기 신청 안내 : 근로장려금 전용 절차입니다(상반기 9.1~9.15 / 하반기 익년 3.1~3.16). 자녀장려금은 반기로 별도 지급되지 않으며, 반기 체계에서는 하반기 정산 시 함께 반영됩니다. ...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정기부금단체 지정 — 요건·절차·제출서류·사후의무

2025-09-23 업데이트 · 국세청 홈페이지 참고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정기부금단체 지정 — 요건·절차·서류·사후의무 국세청 지정추천 → 기획재정부 장관 지정까지 분기 타임라인 과 정관 필수조항·전용계좌·공시 를 한 번에. 목차 1) 한 눈에 요약 2) 신청 대상 & 지정 요건 3) 절차 & 분기별 타임라인 4) 제출서류(필수/추가) 5) 정관 필수조항 & 홈페이지 공개 6) 사후의무(공시·전용계좌·보고) 7) FAQ 8) 참고 링크 9) 태그·요약(메타) 1) 한 눈에 요약 [근거] 항목 핵심 신청주체 사회적협동조합 포함 비영리법인(기부금단체 지정 요건 충족) 프로세스 관할세무서(국세청) 지정추천 신청 → 국세청 심사·추천 → 기획재정부 장관 지정·고시 마감 분기 접수 마감·지정일 기준으로 운영(분기 공고 확인 필수) 정관 필수 ①수입의 공익사용 ②수혜자 불특정 다수 ③해산시 잔여재산 귀속 ④기부금 공개(홈페이지) 사후의무 전용계좌 사용·기부금 모금/활용실적 공시(홈페이지+홈택스)·연 1회 보고 2) 신청 대상 & 지정 요건 [근거] 요건 설명 확인 비영리성 사회적협동조합(협동조합기본법) 등 비영리법인 □ 공익목적 수입 공익사용, 수혜자 불특정 다수 □ 정관 조항 잔여재산 귀속·기...

🔥 에너지바우처 2025 총정리: 대상·금액·신청·사용법(공식 링크 포함)

🔥 에너지바우처 2025 총정리: 대상·금액·신청·사용법(공식 링크 포함) 결론: 2025년 에너지바우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중 가구원 특성(노인·장애·영유아·임산부·중증/희귀/난치질환·한부모·소년소녀가정) 충족 시 지원되며, 1~4인 가구 총 295,200~701,300원 을 동·하절기 구분 없이 사용기간(2025.7.1~2026.5.25) 내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대상) 지원금액(2025) 신청 기간·방법·서류 사용 방법(요금차감/국민행복카드) 중복·유의사항 자주 묻는 질문(FAQ) 공식 출처 누가 받을 수 있나(대상) 소득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 가구 가구원 특성(택1 이상) : 노인(65세↑), 영유아(7세 이하·주민등록 2018.1.1 이후 출생),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 포함) 제외 : 세대원 전원이 보장시설 급여 수급 등 지원금액(2025·총액) 세대 규모 총 지원금액(원) 비고 1인 295,200 월 금액 아님(연 총액) 2인 407,500 〃 3인 532,700 〃 4인+ 701,300 〃 ※ 2025년은 동·하절기 구분 없이 총한도 내 자유 사용 . 단, 동절기 연탄쿠폰·긴급복지 연료비 를 선택하면 표의 괄호금액 (하절기용)만 지원. 신청 기간·방법·서류 신청기간 : 2025. 6월 9일 ~ 12월 31일 방법 : 방문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온라인 — 복지로 (담당 공무원이 ‘행복이음’에서 접수 ...

디딤돌 대출 2025 완전 가이드 — 자격·한도·금리·LTV/DTI·실거주의무 2년·신청 루트

2025-09-22 업데이트 · 공식 근거 링크 포함 디딤돌 대출 2025 완전 가이드 — 자격·한도·금리·LTV/DTI· 실거주의무 2년 ·신청 루트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대표 기금 주담대. 자격·한도·금리 와 실거주의무(’25.3.24 신청분부터 2년) 까지 공식 근거 로 정리했습니다. 무주택 세대주 필수 LTV 70% DTI 60% 최대 3.2억 유형별 한도 실거주 2년 ’25.03.24~ 목차 1) 한 눈에 보는 요약 2) 신청 자격(소득·자산·무주택) 3) 대상 주택 & 한도·LTV/DTI·금리 4) 실거주의무(2년) & 유예 5) 신청 방법(온라인/은행창구) 6) 보금자리론과 비교 7) 근거 링크(공식) 8) FAQ 9) 태그·요약(메타) 1) 한 눈에 보는 디딤돌 대출 항목 내용 대상 무주택 세대주(세대 전원 무주택) 소득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생애최초·2자녀 7천만, 신혼 8,500만 원) 자산 본인+배우자 순자산 4.88억 원 이하 주택요건 담보주택 평가액 5억(신혼·2자녀 6억) 이하, 전용 85㎡(읍·면 100㎡) 이하 한도 일반 2억 / 생애최초 2.4억 / 신혼·2자녀 3.2억 LTV/DTI LTV 70%, DTI 60% 금리 고정 또는 혼합 — 소득·만기별 차등(예: 약 2.8~4.1%) 실거주 대출 실행 ...

부모급여 2025 총정리: 대상·금액·신청·차액(보육료)까지 한 번에

부모급여 2025 총정리: 대상·금액·신청·차액(보육료)까지 한 번에 결론: 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0~23개월) 에게 지원되며, 0세 월 100만원 , 1세 월 50만원 입니다.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하면 출생월부터 소급 가능합니다. 어린이집·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시에는 한도 내 보육료 등을 제외한 ‘차액’ 이 지급됩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대상·기간) 지원금(월액·최대 총액) 신청 방법·기한 보육시설 이용 시 ‘차액’ 규칙 자주 묻는 질문(FAQ) 공식 출처 누가 받을 수 있나(대상·기간) 대상 연령: 만 2세 미만(0~23개월) 지원기간: 2세 생일 도래 전월까지 최대 24개월 ※ 2세(24~35개월)는 부모급여 대상이 아니며, 별도의 가정양육수당 등 제도가 적용됩니다. 지원금(월액·최대 총액) 연령 2025년 월 지원액 비고 만 0세 100만원 현금 또는 보육료/아이돌봄 이용 시 차액 만 1세 50만원 현금 또는 보육료/아이돌봄 이용 시 차액 총액(0~23개월) 1,800만원 100×12 + 50×12 신청 방법·기한 신청 기한: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 지원 온라인: 복지로(bokjiro.go.kr), 정부24(gov.kr) 방문: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출생신고 원스톱 가능) 지급일: 매월 25일(주말·공휴일이면 ...

체납자 해외 은닉재산을 끝까지 추적하기 위해 호주와 징수공조를 체결, 아·태 국세청장회의에서 AI 세정 전환 계획을 공유함.

2025-09-18 보도참고자료 요약 국세청, SGATAR 참석… 한‑호 징수공조 MOU 체결 체납자 해외 은닉재산을 끝까지 추적 하기 위해 호주와 징수공조 MOU 를 체결하고, 아·태 국세청장회의에서 AI 세정 전환 계획을 공유했습니다. 9/16~18 브리즈번 개최 MOU 한‑호 징수공조 AI 세정 대전환 목차 1) 한눈에 보는 핵심 2) 무엇이 달라지나: 한‑호 징수공조 MOU 3) SGATAR(아·태 국세청장회의) 개요 4) 한국 국세청의 ‘AI 대전환’ 계획 5) 우리 기업 지원(상호합의·세정외교) 6) 자주 묻는 질문(FAQ) 7) 체크리스트 & 태그·요약 1) 한눈에 보는 핵심 언제/어디서 : 2025.09.16(화)~09.18(목), 호주 브리즈번 에서 열린 제54차 SGATAR 참석 주요 성과 : 호주와 징수공조 MOU 체결(체납자 해외재산 압류·공매 등 강제징수 절차·범위 명확화) 정책 메시지 : AI 기반 세정 전환 방향 발표, 우리 기업에 대한 세정지원 요청 2) 무엇이 달라지나: 한‑호 징수공조 MOU 항목 내용 목적 체납자의 해외 은닉재산에 대한 국제 공조 징수 강화 핵심 상대국 요청 시 압류·공매 등 강제징수 가능하도록 절차/범위 명확화 , 협력 창구 공식화 의미 양국 간 실질적 징수 공조 체계 구축 → 조세정의 실현 및 악질 체납 대응력 향상 3) SGATAR(아·태 ...

코인 세금 2027 완전정리: 과세 시작일·전환특례·세율 22%

코인 세금 2027 완전정리: 과세 시작일·전환특례·세율 22% 결론부터: 2027년 1월 1일 이후 에 발생한 가상자산 양도(매도·교환) 소득부터 과세됩니다. 언제 샀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언제 팔았는지 가 핵심입니다. 왜 2027년부터인가 전환 특례(원가 산정) 세율·공제·신고 예시로 이해하기 체크리스트 FAQ 출처 왜 2027년부터인가? 2024년 12월 소득세법 개정으로 가상자산 과세 시행이 유예되어 2027년 1월 1일 부터 적용됩니다. 전환 특례(원가 산정) 법 시행 전 보유분 은 취득가액을 ① 실제 취득가액 과 ② 2026년 12월 31일 시가 중 큰 금액 으로 인정합니다. 이 설계로 시행 전 상승분 은 과세에서 사실상 배제됩니다. 세율·공제·신고 과세소득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부대비용 – 기본공제 250만원 세율 : 국세 20% + 지방세 2% = 실효 22% (기타소득 분리과세) 신고시기 :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기간에 기타소득(분리) 로 신고 예시로 이해하기 케이스 : 2025년 1,000만원에 매수 → 2026.12.31 시가 1,600만원 → 2027년에 1,800만원 매도 취득가액 = 1,600만원 (둘 중 큰 금액) 과세대상 이익 = 200만원 연 기본공제 250만원 이내 → 과세 없음 구분 핵심 내용 과세 시작 2027.1.1 이후 양도·대여 전환 특례 원가 Max(실제 취득가, 2026.12.31 시가) ...

비품(컴퓨터) 기부 시 부가세 처리: 간주공급 이론 + 실무사례(공익단체 기부 포함)

2025-09-20 업데이트 · 부가가치세 실무 가이드 비품(컴퓨터) 기부 시 부가세 처리: 간주공급 이론 + 공익단체 면세 + 실무사례 핵심 정리: 비품 기부는 일반적으로 간주공급 (개인적공급·사업상증여)으로 과세 하되, 부가가치세법 §26①20 의 요건을 충족하는 공익단체 등 에 무상공급 하면 면세 입니다. 과세분은 세금계산서 발급의무 없음 (면제)·신고서 “④ 기타(정규영수증 외)” , 면세분은 면세공급 으로 처리. 감가상각자산은 자가공급 과세표준 산식 (법 §29⑪, 규칙 §66) 적용. 간주공급 개인적공급·사업상증여 면세 법 §26①20 공익단체 무상공급 자가공급 감가상각자산 산식 목차 1) 이론: 간주공급/면세/신고/과세표준 2) 법령·실무 근거 3) 사례: 컴퓨터를 공익단체에 기부 4) Q&A(바로 답) 5) 체크리스트 & 실수 포인트 6) 태그·요약(메타 복사용) 1) 이론: 간주공급/면세/신고/과세표준 ① 간주공급의 범위 개인적공급 : 사업용 재화를 사업 외 목적으로 사용·소비·양도 사업상증여 : 거래처·단체 등에 무상 으로 제공(증여) 자가공급(감가상각자산) : 고정자산을 사업 외로 전용·증여하는 경우 과세표준을 별도 산식으로 계산 수증자가 일반 개인·법인 이면 간주공급으로 과세 가 원칙이나, 국가·지자체·지자체조합 또는 시행령 §47의 공익단체 에 무상공급 하면 면세 입니다(법 §26①20)....

2025년 보증금 간주임대료 과세 총정리

2025년 보증금 간주임대료 과세 총정리 2025년 전세보증금 간주임대료 과세 완전 정리 🧾 전세보증금만 받고 월세는 안 받는다? 그런데도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보증금 등에서 발생하는 '간주임대료' 과세 조건, 계산법, 예외 조항을 국세청 기준에 따라 쉽게 정리했습니다. ✅ 핵심 요약: 3주택 이상 보유자 또는 2주택 이상 & 보증금 3억 초과 → 세금 나올 수 있음 월세 없어도 과세 대상 되는 게 간주임대료! 📌 목차 간주임대료란? 과세 대상자 요건 계산 방법 (2025년 이자율) 예외: 비과세 되는 경우 계산 사례 1️⃣ 간주임대료란? 전세나 보증금만 받고 월세를 받지 않더라도, 세입자가 맡긴 보증금으로 집주인이 수익을 얻는 것으로 ‘간주’ 해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2️⃣ 과세 대상자 요건 3주택 이상 보유자 는 무조건 대상 2주택자 라도 보증금 합계가 3억 원 초과 하면 간주임대료 과세 대상 1주택자 는 간주임대료 과세 없음 (비과세) 3️⃣ 간주임대료 계산 방법 (2025년) 비과세 보증금 한도: 3억 원 2025년 정기예금이자율: 2.6% 계산식: (보증금 합계 - 3억 원) × 2.6% × (임대일수 ÷ 365) 간주임대료 금액은 주택임대소득 에 포함되어 분리 또는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4️⃣ 예외: 간주임대료에서 제외되는 주택 소형주택 : 전용면적 40㎡ 이하 & 기준시가 2억 이하 → 간주임대료 계산에서 제외 사택 제공, 기숙사 등 특수 목적 주택 : 제외 가능 5️⃣ 계산 사례 ✅ 사례 A: 2주택 보유 + 보증금 5억 원 초과보증금: 2억 원 간주임대료: 2억 × 2.6% = 520만 원 → 520만 원이 임대소득으로 과세 ✅ 사례 B: 3주택 보유 + 보...

2025년 주택임대소득 과세 총정리 (보유 주택 수별)

2025년 주택임대소득 과세 총정리 (국세청 기준) 2025년 주택임대소득 과세 총정리 ✅ 1주택자라도 월세 받으면 세금 낼까?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국세청 공식 가이드 를 반영한 과세 여부 + 분리/종합 과세 조건 + 계산사례 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 핵심 정리: - 1주택자 + 기준시가 12억 이하 = 월세 수입 있어도 비과세 - 기준시가 12억 초과되면 과세 대상 📌 목차 과세 여부 판단 기준 보유 주택 수별 과세 정리 과세 방식 (종합 vs 분리) 세금 계산 사례 1️⃣ 과세 여부 판단 기준 (2025년 국세청) 1주택자 이고, 해당 주택의 기준시가가 12억원 이하 이면 비과세 기준시가 12억 초과 주택은 과세 (월세 수입 포함) 2주택 이상 보유자 는 원칙적으로 과세 대상 👉 국세청 공식 자료 확인하기 2️⃣ 보유 주택 수별 과세 정리 보유 주택 수 기준시가 과세 여부 1주택 12억 이하 비과세 1주택 12억 초과 과세 2주택 이상 전체 무관 과세 3️⃣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택1) 임대소득 연 2,000만 원 이하 →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선택 분리과세 시 세율 14% + 공제 적용 공제 및 필요경비율: 등록임대주택 : 필요경비율 60%, 공제액 400만 원 미등록임대주택 : 필요경비율 50%, 공제액 200만 원 4️⃣ 세금 계산 사례 ✅ 사례 A: 1주택자 + 기준시가 10억 → 비과세 연간 월세 수입: 1,800만 원 결과: 비과세 → 종소세 신고 필요 없음...

간이과세자 납부해야 할 세금 & 납부기간 초간단 가이드

2025-09-19 업데이트 간이과세자 납부해야 할 세금 & 납부기간 초간단 가이드 간이과세(부가세 간편 신고) 개인사업자 기준으로, 무엇을 언제 내야 하는지 한 장으로 정리했습니다. 연간 캘린더·FAQ·체크리스트 포함. 1/1~25 부가세 확정 7/1~25 부가세 예정고지 납부 5/1~31 종합소득세 목차 1) 간이과세자가 내는 세금 4가지 2) 연간 납부 캘린더 3) 자주 묻는 질문 4) 체크리스트 5) 태그·요약(복사용) 1) 간이과세자가 내는 세금 4가지 부가가치세(VAT) — 간이과세자 전원 대상(일부 납부의무 면제 여도 보통 1월 확정신고 필요) 언제? 1/1~25 확정신고·납부(연 1회). 7/1~25 예정고지(고지서로 납부, 별도 신고 없음) 계산식(개념) : 공급대가 × 업종별 부가가치율 × 10% − 일부 매입세액 주의 : 업종별 부가가치율 다름(도·소매, 음식·숙박, 제조·서비스 등) 종합소득세 — 개인사업자 소득세 언제? 5/1~31 신고·납부(전년도 사업소득 합산) 지방소득세 : 같은 기간에 소득세의 10% 원천세 — 직원 급여·프리랜서 용역비 지급 시만 해당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 신청/조회/이의신청 링크 모음(공식)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 신청/조회/이의신청 링크 모음(공식) 요약: 9월 22일 오전 9시 ~ 10월 31일 오후 6시 까지 2차 신청이 진행됩니다.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스미싱 예방을 위해 URL이 든 문자 발송을 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아래 공식 사이트 버튼으로 접속하세요. 사용기한은 11월 30일 까지입니다. 건강보험공단 대상자 조회 / 보험료 확인 www.nhis.or.kr (The건강보험 앱도 가능) 국민비서 알림 신청 ips.go.kr — 대상 여부·신청기간 알림 국민신문고 이의신청 epeople.go.kr — 9/22~10/31 접수 위택스(재산세 과세표준 확인) wetax.go.kr 홈택스(금융소득 확인) hometax.go.kr * 카드사/지역사랑상품권 신청은 각 카드사·지자체 공식 앱/웹 에서 진행하세요. 의심 문자/링크는 클릭하지 마세요. 바로가기 신청 기간 · 요일제 신청 방법(온라인/오프라인) 대상자 선정 기준(요약) 자주 묻는 질문(FAQ) 문의처 · 스미싱 주의 신청 기간 · 요일제 항목 내용 신청 기간 9월 22일(월) 오전 9시 ~ 10월 31일(금) 오후 6시 사용 기한 11월 30일(일)까지(미사용 잔액 소멸) 요일제(첫 주) (월) 1·6 / (화) 2·7 / (수) 3·8 / (목) 4·9 / (금) 5·0 / (주말) 모두 가능 신청 방법(온라인/오...